|
|
Home > 기타 |
|
책소개 |
|
소개
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어휘와 문형만을 암기하는 것이 아닌 문화를 배우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종래의 언어를 위한 언어교육이 아닌 문화를 위한 일본어교육이란 무엇인지를 설명하고 있는 교재 입니다.
특성
? 언어와 문화의 통합문제를 개관하고 그 교육실천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학습자 주체의 개념에 대한 제문제를 검증하였습니다.
? 교육학적 관점을 수용한 상황적학습, 다언어 다문화 사회를 전제로 한 내용중시, 각 언어 환경에 학습자를 투입한 몰입 프로그램 등 각각 이론과 실천을 소개하고 있습니다.
? 일본어교육 전체의 관점에서 생각할 때 담화의 역할과 미디어와의 관련을 다루고 있습니다.
? 일본어교육에서 문화의 개념을 고려하기 위한 다양한 일본 문화론과 문화의 개념을 소개하고 있습니다.
|
|
구성 및 개요 |
|
머리말 - 언어와 문화의 연결고리를 찾아서
제1장 언어?문화?교육- 언어와 문화를 잇는 일본어교육을 위하여 - 호소카와 히데오(細川 英雄)
1 언어와 문화를 잇는 학습자
2 연구자의 발견에서 학습자 지원으로
3 언어문화통합의 입장과 일본어교육
4 교육 패러다임으로의 전환
5 실천에서 연구로, 연구에서 실천으로
제2장 학습자 주체란 무엇인가 세가와 하즈키(牲川 波都季)
1 애매한 ‘학습자 주체’
2 학습자 중심?학습자 주체의 제창과 그 의의
3 학습자 중심?학습자 주체의 문제
4 학습자 중심?학습자 주체의 현재
5 학습자 주체의 새로운 일본어교육을 위하여
제3장 일본어 교사를 위한 상황적 학습이론 입문 니시구치 코이치(西口 光一)
1 들어가는 말
2 무엇이 문제인가
3 최근접 발달영역론(ZPD)과 비계설정론(Scaffolding)
4 합법적 주변 참여론
5 제 2언어교육에서의 상황적 학습이론의 응용
6 맺는말
제4장 내용중시 일본어교육 오카자키 히토미(岡崎 眸)
1 내용중시의 제 2언어 교육(Content Based Instruction)
2 다언어다문화 사회에서의 내용중시 일본어교육 -‘내용’의 질적 전환 -
3 맺는말
제 5장 몰입 프로그램 입문 : 상호작용능력 습득을 위한 코스 디자인 미야자키 사토시(宮崎 里司)
1 들어가는 말
2 몰입 프로그램의 역사 ? 개관
3 몰입 프로그램의 코스 디자인
4 해외 일본어 몰입 프로그램
5 일본 내의 일본어 몰입 프로그램
6 맺는 말
제6장 연소자를 위한 일본어교육 가와카미 이쿠오(川上 郁雄)
1 ‘연소자’와 일본어교육
2 ‘일본어 교육을 필요로 하는 외국인 아동 학습자’를 위한 일본어교육의 과제
3 해외의 초?중등 교육 수준에서 일본어교육의 과제
4 언어와 문화의 의미를 생각하는 교육을 목표로
제7장 체험형 학습의 의미와 방법 이케가미 마키코(池上 麻希子)
1 체험형 학습
2 왜 ‘체험형 학습’인가?
3 실천사례 소개
4 체험형 학습 방법과 교사의 역할
제8장 지역사회와 일본어교육 야마다 이즈미(山田 泉)
1 들어가는 말
2 인간의 생활기반으로서의 지역사회
3 지역사회에서의 ‘공생’
4 지역사회에서의‘일본어 교육’
5 두가지 지역에서의 ‘일본어 학습과 지원 활동’
6 현실적인 대응의 필요성
7 ‘지역 일본어 학습과 지원 활동’의 지원자 네트워크
제9장 담화 전략과 일본어교육 사이죠 미키(西條 美紀)
1 들어가는 말
2 의사소통 수행에서의 담화 전략
3 접촉장면에서의 담화 전략
4 담화 전략 교육의 실천 사례
5 맺는말
제10장 미디어 정보활용능력의 세계 가도쿠라 마사미(門倉 正美)
1 미디어 해독능력(media literacy)이란
2 미디어 해독능력과 일본어교육
3 미디어 이용교육과 미디어 해독능력 교육의 차이
4 미디어 해독능력 교육의 기본개념과 중핵 교육과정
5 일본어교육에서 미디어 해독 능력 향상 요소의 도입
제11장 학습자 참가형 평가와 일본어교육 요코미조 신이치로(?溝 紳一?)
1 평가란
2 교사주도의 평가에서 학습자 참가형 평가로
3 학습자 참가형 평가의 목표와 특징
4 학습자참가형 평가방법
5 학습자 참각형 평가와 자기 평가
6 학습자 참가형 평가의 장단점
7 맺는 말
제12장 일본어 교사의 격려와 낙담 오자키 아키토(尾崎 明人)
1 들어가는 말
2 일본어 교사의 역할
3 수업이 만들어 내는 성과
4 학습자의 불안과 격려
5 교사에 대한 수용태도와 낙담
6 생활자로서의 학습자와 격려
7 맺는 말
제13장 일본문화론과 일본어교육 오가와 타카시(小川 貴士)
1 들어가는 말
2 전후의 일본인론의 추이
3 일본인론의 비객관성
4 인식 대상과 개인의 의식
5 일본어교육에 일본인론을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
6 교실활동
7 맺는 말
제14장 일본어교육에서 중시되는 문화개념 사사키 토모코(佐?木 倫子)
1 왜 ‘문화’를 다루는가
2 일본어?일본사정에서 중시되는 문화개념도
3 소산(所産) ? 지식으로서의 문화
4 타자(他者)와의 상호작용에 개재된 문화
5 개체(個)로서의 문화
6 ‘언어와 문화’의 향방
|
|
|